▶ 미국 소비자물가지수(CPI) 간단 공부
→ CPI: 소비자들의 소비품목을 미리 조사해 가중치를 정해놓고, 매월 이 품목들의 가격변화를 조사
→ 미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에서는 CPI 방법을 씀
→ CPI 방법은 소비자들의 소비품목 변화의 추이를 따라가지 못하여 정확도가 떨어짐
→ 사람들의 소비가 바뀌어도 5년 동안은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
→ 전년대비(YoY) 기준으로 확인하며 전월대비(MoM)는 보조 지표로 사용
→ 매 월 중순에 발표
▶ 미국 소비자물가지수(CPI) 발표 : 2021년 8월 11일
→ 블롬버그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(5.3%)보다 약간 높음(5.4%)
→ 경제 전문가들은 근원 CPI의 오름폭이 다소 완화되었다는 데 주목
→ 가장 높게 증가한 부문 : 에너지(휘발유 전년대비2.4% 상승)
→ Fed는 인플레이션이 일시적 현상이라 보고 완화정책 유지 중이나, 테이퍼링의 목소리가 나옴
→ 인플레이션의 정점에 이른 것이라는 해석도 있음
▶ 미국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(PCE) 간단 공부
→ PCE: 소비자들의 소비품목 변화와 가격 변화를 함께 조사 반영
→ PCE가 현실을 더 잘 반영, Fed는 정책결정 시 참고하는 물가로 PCE를 확인
→ Fed는 물가안정 목표를 연평균 2%로 설정하고 있음(PCE기준)
→ PCE(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)
→ 매 월 말에 발표
▶ 물가지수 추가 공부
→ 헤드라인: 전체 물가를 다 계산하는 물가
→ 근원물가: 가격변동이 심한 식품/에너지를 제외하고 계산하는 물가
→ 근원물가가 올라가면 추세적으로 물가가 올라가는 형국으로 봄(★)
'[지역번호] 재테크 > [지역번호] 경제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#D-9] 미국 소매판매 지수 기록(21.8/17 발표) (0) | 2021.08.18 |
---|---|
[#D-8] 미국 국내총생산(GDP) 기록(21.5/27 발표) (0) | 2021.08.17 |
[#D-6]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기록(21.8/6 발표) (0) | 2021.08.15 |
[#D-5] 미국 소매판매 지수 기록 (21.7/16 발표) (0) | 2021.08.14 |
[#D-4]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(PMI) 기록(21.8/2 발표) (0) | 2021.08.12 |
댓글